이 게시글은 혼공학습단(혼공컴운) 14기의 3주차 과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.
RAID란 무엇인가요?
RAID는 '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'의 줄임말로, 독립적인 여러 개의 디스크를 마치 하나의 큰 디스크처럼 작동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. 단순히 디스크를 합치는 것을 넘어,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거나 복사본을 만들어 보관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.
- 데이터 안전성 향상: 디스크 하나가 고장 나더라도 데이터를 보호하고 복구할 수 있습니다.
- 성능 향상: 여러 디스크가 동시에 작동하여 데이터 읽기/쓰기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1TB 하드디스크 4개를 RAID로 구성하면 단순히 4TB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과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다양한 RAID 레벨: 목적에 맞는 선택
RAID는 구성 방식에 따라 여러 '레벨'로 나뉘며, 각 레벨마다 장단점이 명확합니다. 주요 RAID 레벨을 살펴보겠습니다.
1. RAID 0 (스트라이핑): 속도에 올인!
- 작동 방식: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블록 단위로 나누어 동시에 저장합니다.
- 장점: 여러 디스크에서 동시에 읽고 쓰기 때문에 압도적인 입출력 속도 향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
- 단점: 디스크 중 단 하나라도 고장 나면 모든 데이터를 잃을 수 있어 데이터 안전성이 매우 낮습니다.
2. RAID 1 (미러링): 데이터 안전이 최우선!
- 작동 방식: 원본 데이터를 다른 디스크에 완벽하게 복사하여 저장합니다. 마치 거울처럼 데이터를 복제한다고 해서 '미러링'이라고 불립니다.
- 장점: 디스크 하나가 고장 나도 복사본이 있어 데이터 복구 및 안전성이 매우 높습니다.
- 단점: 원본과 복사본에 동시에 데이터를 써야 하므로 쓰기 속도가 느릴 수 있으며, 동일한 데이터를 두 번 저장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 가능한 용량이 절반으로 줄어들어 비용 효율성이 낮습니다.
3. RAID 4: 패리티를 활용한 효율적인 안전성
- 작동 방식: 완전한 복사본 대신, 오류 검출 및 복구 정보인 '패리티 비트'를 별도의 디스크에 저장합니다.
- 장점: RAID 1보다 적은 디스크로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.
- 단점: 패리티 정보를 저장하는 디스크에 모든 쓰기 작업이 집중되어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4. RAID 5: RAID 4의 단점 보완
- 작동 방식: RAID 4의 단점인 패리티 디스크의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패리티 정보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합니다.
- 장점: RAID 4보다 효율적이며, 데이터 안전성과 성능의 균형이 좋습니다.
5. RAID 6: 더욱 강력한 데이터 보호
- 작동 방식: 두 가지 종류의 패리티 정보를 사용하여 오류 검출 및 복구 능력을 한층 강화합니다.
- 장점: RAID 5보다 데이터 안전성이 더욱 높습니다. 디스크 두 개가 동시에 고장 나도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.
- 단점: 두 종류의 패리티 정보를 써야 하므로 쓰기 속도가 RAID 5보다 느릴 수 있습니다.
3주차 숙제